
스마트 팩토리 AI품질관리 빡공스터디 학습 후기
오늘 배운 것
(1) 생산관리와 품질관리
(2) 품질의 정의 및 품질 수준 결정
(3) 산업 표준화
(1) 생산관리와 품질관리
품질관리 부문의 업무는 크게 신제품 관리, 수입 자재 관리, 제품 관리, 특별 공정 조사로 나눌 수 있다. 특히 신제품 관리는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하기 전'에 문제가 될만한 근원을 파악하는 업무가 필수적이다.
품질의 4대 사이클 : Plan, Do, Check, Action
품질관리의 2가지 측면
1. 현상 유지 : 주로 신입 사원이나 사원, 대리정도의 직급이 하게 되는 일 (내가 취업하게 되면 하게 될 업무가 되겠다..)
2. 개선- 현상타파 : 타 팀과의 소통이 많고 보다 더 심도깊은 업루를 하게 되어 우리가 이후 맡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품질의 정의 및 품질 수준 결정
품질: 제품 또는 서비스가 사용 목적을 '만족'시키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평가의 대상이 되는 고유이 특성 또는 성능 전체.
품질과 관련한 용어가 굉장히 많다. 그 중에서도 실제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는 '시방서'이다.
* 시방서 : 제품, 재료, 공구, 설비 등에 관하여 요구되는 특정한 형상, 구조, 치수, 성분, 능력, 정밀도, 등에 관해 규정한 것
최근 품질관리 용어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는 '종합정 품질경영(Total Quality Management)'이다. 조직의 구성원과 사회에 이익을 주고자 하는 조직의 경영적 접근 방법.
다음은 표준화에 대해 배웠다.
느낀점: 내 전공과 다른 부분이 많아 생소하고 뜻깊은 교육시간이었던 것 같다
#엔지닉 #스마트팩토리AI품질관리
작성자 익명
신고글 스마트 팩토리 AI품질관리 빡공스터디 학습 후기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