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지닉 스마트팩토리 AI 품질관리 스터디 34기 참여후기
#엔지닉 #스마트팩토리AI품질관리 #1일차_학습일지
품질관리란? 생산관리와의 상호보완성
오늘 학습한 단원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1) 생산관리와 품질관리
(2) 품질의 정의 및 품질 수준 결정
(3) 산업 표준화
각 단원에 중요한 개념과 내용만 아래에 정리해볼 것이다.
----------------
(1) 생산관리와 품질관리
품질관리 부문의 업무는 크게 신제품 관리, 수입 자재 관리, 제품 관리, 특별 공정 조사로 나눌 수 있다. 특히 신제품 관리는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하기 전'에 문제가 될만한 근원을 파악하는 업무가 필수적이다.
품질의 4대 사이클 : Plan, Do, Check, Action
품질관리의 2가지 측면
① 현상 유지 : 주로 신입 사원이나 사원, 대리정도의 직급이 하게 되는 일 (내가 취업하게 되면 하게 될 업무가 되겠다..)
② 개선(현상타파) : 타 팀과의 소통이 많고 보다 더 심도깊은 업루를 하게 되어 우리가 이후 맡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2) 품질의 정의 및 품질 수준 결정
품질이란? 제품 또는 서비스가 사용 목적을 '만족'시키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평가의 대상이 되는 고유이 특성 또는 성능 전체.
품질은 크게 객관적/주관적 특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품질과 관련한 용어가 굉장히 많다. 그 중에서도 실제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는 '시방서'이다.
* 시방서 : 제품, 재료, 공구, 설비 등에 관하여 요구되는 특정한 형상, 구조, 치수, 성분, 능력, 정밀도, 등에 관해 규정한 것으로 시방을 문서화한 것을 시방서라고 함
최근 품질관리 용어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는 '종합정 품질경영(Total Quality Management)'이다. 조직의 구성원과 사회에 이익을 주고자 하는 조직의 경영적 접근 방법.
(3) 산업표준화
3S : 표준화, 단순화, 전문화
* 표준화(Standardization) : 표준을 합리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활용하는 조직
적 행위 또는 어떤 표준을 정하고 이를 따르는 것.
표준화의 적용 구조를 크게 수준, 영역, 국면 세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만, 실제 표준화는 위 세가지의 구성이 어우러져 나타난다.
품질 관련 직무를 하게 될 때에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인증제도'이며, 그 중에서도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이 매우 중요하다. 모든 것은 '문서화'되어 그것을 정리해 놓는 것만큼 현장에서 중요한 것이 없다.
-----------------------------
느낀점 :
품질경영기사 자격증 준비하면서 배웠던 내용들이 많이 나오는 것 같아 친숙했다. 또한 실제 산업에서 근무하면서 사용되는 단어나, 실제로 가장 많은 업무를 하게되는 것 등을 직접 들으니 해당 직무에 대해 조금 더 알게된 것 같았다. 막연하게 개념으로만 알고 있던 것들을 현장감있게, 또 간략하고도 명확하게 배울 수 있어 매우 좋은 기회가 나에게 찾아온 것 같다. 작심삼일만해도 성공할 수 있는 스터디, 화이팅!
작성자 익명
신고글 엔지닉 스마트팩토리 AI 품질관리 스터디 34기 참여후기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