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격 스펙 ]
지방대 / 4.05/4.5 / 토익: 880, 오픽: IH / 사회생활 경험: 물류센터아르바이트 4개월 / 기타: 전기기사
[ 합격 자소서 ]
1. CE(Customer Engineer) 직무를 지원한 이유와 반도체 장비분야 및 Applied Materials에 지원하게 된 동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잘할 수 있고, 즐거운 일: CE]
저는 유공압 프로젝트에서 fluidsim을 활용해 회로를 설계, 배선했습니다. 배선 중간에 회로테스트를 했지만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아, 몇 차례 확인했으나 배선에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혹시나 싶어 의심되는 부분의 선, 릴레이 단락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외관으로는 정상적인 전선이 내부에서 개방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았다는 걸 찾았고, 선을 교체했습니다. 잘못된 배선만을 의심하던 중, 예상치 못한 고장을 고치는 과정에서 해결력을 얻고, 뿌듯함을 느끼고 즐거웠습니다. 릴레이, 피스톤 설치는 곧 장비 set up이며, 단락테스트를 해 고장을 찾는 것은 반도체 장비를 보수하는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이 경험이 CE 직무와 유사하며 제가 잘하고, 즐겁게 할 수 있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혁신의 선구자 AM]
4차 산업혁명에 힘입어 반도체 장비 분야의 유망성은 계속 높아지며, 그 중심에는 AM이 있습니다. AM은 거의 모든 반도체 공정 장비의 최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끊임없는 연구와 발전으로 1위를 차지해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항상 발전하고 싶은 저의 가치와 일치하는 AMK에 입사해 혁신에 함께하고 싶습니다.
2. 본인이 생각하는 CE의 역할 및 수행업무는 무엇인지 서술하고, CE를 한 단어 또는 한 문장으로 표현 후 그 이유에 대해 말하시오.
CE는 고객사가 요구하는 장비를 설치하고, 반도체 장비의 유지, 보수와 함께 설비 비결을 전수하는 엔지니어입니다. 또한, 수시로 발생하는 장비 고장을 고객사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해결해 생산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며 고객사로부터 신뢰를 얻고, 손실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한 의사소통이란 상대방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으로 시작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재학 중 신입생 멘토로서, 처음 학교에 와 모든 것에 낯선 신입생의 관점에서 강의를 준비하고,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자료를 몇 번씩 검토하며 그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하며 역량을 키우려 노력했습니다.
[고객사의 선생님: CE]
선생님의 역할은 끝없이 쌓은 전문지식, 신뢰와 믿음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수하며 모르는 것을 알려주고, 올바르게 학업을 마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CE도 비슷하게 고객사가 해결하지 못한 장비이슈를 끝없이 갈고닦은 전문지식을 통해 해결한 뒤 신뢰를 바탕으로 고객사에 어떤 문제가 발생했고, 어떻게 해결하였는지 등을 상세히 알려주며 지식을 전수합니다. 즉, 고객사가 최대의 효율로 반도체 생산을 마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에 선생님으로 표현하였습니다.
3. CE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중요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며, 해당 역량을 갖추기 위해 어떠한 노력과 경험을 하였는지를 상세히 서술하십시오.
[전문성을 갖춘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고집적화를 향해 끝없이 발전하는 반도체 장비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이 필수적입니다. CE로서 전문성을 얻기 위한 기판을 다지기 위해, 저는 반도체 공정 교육을 신청해 직접 클린룸에 들어가 전 공정이 이뤄지는 과정을 경험했습니다. 특히 AM사의 실제 양산용 PVD 장비를 보며 sputtering 물질로 원자 질량이 크고, 가격이 저렴해 양산에 적합한 Ar을 사용하는 것, 높은 순도를 위한 초고진공을 유지하는 데 있어 2개의 버퍼 체임버를 활용하는 이유 등에 대해 이해 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반도체 공정 관련 책을 읽으며 ALD, 이온주입, 플라즈마 에칭 등에 대해 배우고, 반도체 공정 과목을 수강하며 소자원리, 각 공정의 장단점, 건식, 습식 방식을 익혔습니다.
또한, 메카트로닉스라는 융합 전공을 하며 4대 역학에 더불어 구조해석, CAD 등의 기계 과목과 전자회로, 제어공학,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전자과목을 수강 및 ELVIS, MATLAB, SIMULINK, MULTISIM, ATMEL STUDIO 등으로 두 분야에서의 다양한 실습을 진행하며 융합 엔지니어로서의 역량을 키웠습니다.
4. 인생에서 겪었던 가장 어려운 혹은 힘들었던 경험/문제상황은 무엇인지, 해당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정과 그 안에서 본인이 느낀 점에 대해 기술하시오.
[제 고된 경험을 바탕으로 빠르게 적응하겠습니다.]
저는 여름, 겨울방학에 스스로 생활비를 벌기 위해 물류센터에서 4개월 동안 무더운 더위와 영하 10도를 웃도는 추운 현장에서 일했습니다. 주 6일, 저녁부터 새벽까지 하루 10~11시간씩 고강도의 장기간 근무하니 생체리듬은 흔들렸고, 육체적으로 정말 힘들었습니다.
하지만 이를 이겨내기 위해 더욱 규칙적인 생활과 출근 전 30분씩 꾸준히 스트레칭, 운동했습니다. 또한, 이걸 해낸다면 뭐든 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며, 제가 지쳐서 포기하지 않고 나아가도록 노력했습니다. 그 결과, 개강하기 전까지 아르바이트를 마쳤고, 이 경험을 통해 야간 근무, 추위, 더위와 같은 육체적 고난을 이겨내 강인한 정신력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CE는 현장에서 고객사의 원활한 장비가동을 돕기 위해 밤, 낮 구분 없이 순환 근무를 하며 중요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또한, 방진복을 입고 고된 작업을 해 강한 육체, 정신력을 요구하는 직무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경험을 통해 얻은 역량으로 CE로서 빠른 적응을 해, AMK의 엔지니어로서, 고객사가 필요로 하는 엔지니어로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5. 하나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타인과 협업한 사례와 그 결과에 대해 본인이 기여한 바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저는 유한요소 해석 및 실습 과목에서 구조물 해석 프로젝트를 팀원과 함께 진행했습니다. 저희는 피렌체의 성당 돔을 solid works로 모델링하고 ansys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으로 시뮬레이션해 성당이 안전한지 판단했습니다.
더욱 정확한 해석을 위해 팀원과 저는 각각 자료를 찾고 서로 비교하며 돔의 구조, 물성에 대한 정보를 찾았습니다. 저는 팀원이 찾아준 현수선 방정식을 soildworks에 대입해 3중 돔의 내부, 뼈대, 외부 돔을 모델링하고 ansys로 파일을 옮겨 mesh의 크기에 변화를 주고, 중간 뼈대를 제거해 같은 양의 물질로 1중 구조의 돔을 만들며 해석되는 결과를 비교했습니다. 또한, 피렌체 성당 돔의 최상단 가운데 부분은 원래 뚫려있는데, 뚫지 않았을 때에 비해 응력이 분산되는 것을 확인하며 돔이 구조적으로 유리하게 설계된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피렌체 지역의 풍속을 대입하여 더욱 정확한 해석을 해 프로젝트 만점을 맞는 쾌거를 이뤘습니다.
혼자 진행했다면 물성, 구조에 대해 잘못된 정보를 입력하거나 모르는 부분에 막혀 올바르지 못한 해석결과를 냈을 수 있었지만, 팀원과 함께해 협력의 중요성을 알 수 있는 값진 경험이었습니다.
출처: 대학생 대외활동 공모전 채용 사이트 링커리어 https://linkareer.com/
* 해당 합격자소서는 합격이 최종확인된 100% 신뢰할 수 있는 검증된 합격자소서입니다. 합격자소서는 대학생 대외활동 공모전 채용 사이트인 링커리어와 제휴를 통해 위포트 회원분들께 제공됩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