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격 스펙 ]
강남대 / 2.89 / 토익스피킹: 110/5, 오픽: IL / 기타: 정보처리기사
[ 합격 자소서 ]
[필수문항]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해 주세요. (성격의 장단점, 취미활동, 가치관 등) -
[경험론적 사고]
제 장점은 러닝 커브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다년간의 경험을 통해 새로운 것을 학습하거나 새로운 일을 접했을 때 빠른 습득을 한다 판단했습니다. 그 일이 가지고 있는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무의미한 일이나 학습의 반복이 아닌 현재의 경험을 토대로 발전할 방향을 스스로 설정합니다. 그 후 좀 더 빠른 숙련도와 이해력을 바탕으로 빠른 성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일례로 새로운 분야의 아르바이트를 했을 때, 일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고 처리를 빠르게 습득해 상사들에게 빠릿빠릿하고 믿고 맡길 수 있는 직원이라는 평을 자주 들었습니다.
제 단점은 실력의 고착화가 생긴다는 것입니다. 어느 적정 수준에서 실력의 고착화가 생기는 경우를 자주 경험했습니다. 이런 경우 흥미를 잃고 열의를 상실한 적이 더러 있었습니다. 몇 번의 관심사를 다른 곳으로 옮겨가기를 반복 후 저는 이 단점을 저만의 방식으로 이겨내는 법을 습득했습니다. 일이나 학습을 하며 다른 관점에서 그 일을 바라보고 단기적인 목표를 세워 목표달성이라는 성취감을 통해 발전해나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일계획표와 달 계획표를 보이는 주변에 두어 할 일과 목표를 성취하게 되었습니다.
저의 가치관은 실패하는 경험은 없다는 것입니다. 단편적으로 봤을 때 실패의 경험은 존재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그 경험을 통해 다른 일을 성공의 발판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실패를 경험하고 실의에 빠져있기보단 새로운 일들을 경험하고 발전해나가자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다양한 아르바이트 경험과 여러 분야의 친구들을 사귀었습니다. 서비스직, 유통직, 사무직, 매장관리 등 다양한 업종의 아르바이트를 하며 해당 점포의 사장님과도 일 이후에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친구들과의 교우관계 또한 원만하게 지내며 주변인들을 통해서도 항상 발전해 나가고자 합니다.
[필수문항] QA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하였으며,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한 본인만의 강점은 무엇인가요? -
[풀스택 개발자!]
삼성 청년 소프트웨어 아카데미를 이수하며 웹 풀스택 개발자로서의 역량을 키웠습니다. 제가 사용가능한 개발언어는 JAVA를 이용한 Spring, Spring boot와 Javascript를 이용한 Vue.js와 css 등을 사용해본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Firebase를 이용한 서버와 DB의 운용한 경험을 가지고 있고, 팀원들과의 협업을 위해 Git과 JIRA를 이용해 애자일 방법론적 개발을 한 경험이 있습니다. 3번의 프로젝트를 직접 개발 및 구현을 통해 숙련도와 구현력을 갖추었습니다.
개발업무를 하며 Server에 관심을 두었습니다. 왜냐하면 Server에서의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에 따라 서비스의 효용가치가 판단되기 떄문입니다. 작게보이는 지점지점들이 모여 큰 효율을 만들어내고 사용자에게 좀 더 신속한 요청에 대한 결과를 응답할 수 있습니다. 큰 규모의 시스템을 경험해 본 적은 없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그런 부분에 신경쓰며 코딩하였습니다. 실례로 SQL을 다루며 어느 지점에 인덱싱을 통해 좀 더 빠른 조회가 가능할지에 대한 고민을 하였습니다. 실제 테스트 단계까진 못했지만 이론적으로 사용자들이 어느 지점을 많이 조회하는지 어떤 데이터가 많이 쓰이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고민을 했습니다.
이런 생각과 경험을 토대로 QA 직무에서 효율적인 코딩을 위한 테스터가 되고자 합니다. 버그를 잡을 뿐 아니라 효율적인 변화를 꾀할 수 있는 N Tech Service QA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필수문항] 성공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한 경험이나, 난관을 돌파하기 위해 시도했던 방법이 있으면 작성해주세요. -
[의지를 가지면 불가능은 없다]
Fabric 기반의 소유권 관리와 이더리움 결제가 가능한 미술품 경매 사이트를 개발한 경험이 있습니다. 기본 스켈레톤 코드를 기반으로 명세서에 맞는 소스 코드를 구현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였습니다.
5명에서 시작한 프로젝트는 취업으로 인해 3명이 프로젝트에서 빠지게 되었습니다. 역할 공백으로 인해 프로젝트의 완성을 확신하지 못했지만 힘든 상황에서 프로젝트를 완성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기존 5명의 업무를 재분배하고 프로젝트 일정을 수정했습니다. 맡은 역할은 팀장으로서 git 관리, JIRA를 통한 업무 분담, 이더리움 서버구축을 담당했습니다.
먼저 늘어난 작업량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협업툴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연결되어있는 이슈들을 JIRA를 통해 잘 정리하고 git의 충돌이 최대한 적게 나도록 설계부터 하였습니다. 항상 9시 정각에 팀원과 만나 스크럼을 통해 전날 개발 동안의 이슈와 코드 리뷰를 통해 효율적이고 빠른 구현을 목적으로 프로젝트에 임했습니다.
그 결과 명세의 모든 기능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책임감과 의지를 가지고 프로젝트를 완성하며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었습니다.
출처: 대학생 대외활동 공모전 채용 사이트 링커리어 https://linkareer.com/
* 해당 합격자소서는 합격이 최종확인된 100% 신뢰할 수 있는 검증된 합격자소서입니다. 합격자소서는 대학생 대외활동 공모전 채용 사이트인 링커리어와 제휴를 통해 위포트 회원분들께 제공됩니다.
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