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지닉 전기차&2차전지 스터디 30기 참여후기
취업 준비로 네이버 카페를 이용하던 중에, 우연히 ‘엔지닉 전기차&2차전지 스터디 30기’ 참여 모집 글을 보고 신청을 했습니다. 전기자동차 배터리와 관련한 분야로 취업을 꿈꾸고 있는 저에게 이번 스터디는 꼭 참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 저는 이전에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와 관련해서 논문을 작성한 경험이 있어서 그때 열심히 노력하여 공부했던 지식들을 다시 한 번 꼼꼼하게 되짚어보고, 또 그동안의 최신 기술 트렌드는 어떻게 변했는지 궁금했습니다. 강의를 통해 배운 것을 간략히 요약하자면
1강 : ‘전지의 구성 및 원리’
1) 전지의 종류 및 개요 (1차전지, 2차전지, 3차전지, 건전지, 습전지)
2) 전지의 역사
3) 3차전지
4)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연료전지 vs 2차전지)
2강 :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 리튬이온전지’
1) 리튬이온 2차전지 개발역사
2) 충, 방전이 가능한 리튬이온 2차전지
-> 충전 시 리튬이온이 음극으로 이동 / 방전 시 양극으로 이동
-> 리튬이온 배터리는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으로 구성
->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을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쇼트를 방지
-> 현재 사용 중인 대표적인 2차전지는 리튬이온 배터리, 리튬 인산철 배터리
3) 리튬이온전지의 구성 및 종류
4) 전기자동차 리튬이온전지의 에너지 용량 계산
3강 : ‘전기자동차 2차전지 시스템’
1) 전기자동차(BEV: Battery Electric Vehicle)의 구성
2) 고전압 계통 배터리 수량과 전압
3) 배터리 케이스(Battery Pack Housing)
-> PRA(Power Relay Assenbly) : 배터리 시스템의 전원을 단속하는 장치 = 차단기 역할
4)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 구성
->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LIPB) 장단점
-> 고전압 배터리와 전기자동차의 관계
-> 고전압 배터리는 전기자동차의 주행범위, 성능, 충전 속도, 안정성 등에 큰 영향을 미침
-> BMS 구성요소 : 전압센서, 전류센서, 온도센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통신 모듈
4강 : ‘차세대 2차전지 로드맵’
1) 리튬이온 전지 문제와 차세대 전지 개발
2) 전고체 배터리
-> 2차전지 구조와는 달리, 전해액과 분리막을 없애고 그 기능을 고체 전해질로 대체
-> 기존 2차전지의 문제점을 개선시킨 배터리
-> 2차전지와의 큰 차이점은 전해질의 형태
3) 전고체 배터리의 해결과제
4)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의 리튬이온 전지와 차이점
5) 전고체 배터리 개발 현황(2024년)
이고, 특히 기억에 남는 부분은 미래에 사용되어야 할 차세대 2차전지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유익한 강의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엔지닉 전기차&2차전지' 스터디를 통해 이전에 배웠던 내용을 다시 기억할 수 있었고, 앞으로 관련 직무 취업을 위해 더 학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작성자 익명
신고글 엔지닉 전기차&2차전지 스터디 30기 참여후기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