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글
반도체 스터디 89기 - 3일차
선한초콜릿4383
2025.10.29 22:06
조회 7추천 0스크랩 0
https://community.weport.co.kr/community/119408068
반도체 스터디 89기 - 3일차
1. 반도체 회사 내 부서 구조와 역할
오늘은 반도체 산업 내 주요 부서들의 기능과 상호 협력 관계를 학습하였다.
설비팀은 생산 장비의 유지·보수와 개선을 담당하며, 공정개발팀은 새로운 세대의 공정을 개발해 양산팀에 기술을 이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PI(Process Integration)팀은 공정개발팀에서 개발된 단위 공정을 통합하여 소자를 제작하고, 제품별 Project Leader로서 전체 공정을 관리한다.
CAE, Device, Test, 설계팀은 설계 단계에서부터 시뮬레이션, 구조 개발, 특성 평가, 회로 설계까지 유기적으로 협력하며 반도체 제품의 성능을 결정짓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배웠다.
2. 패키징 직무의 세부 역할과 기술
패키징 직무는 반도체 칩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후공정 단계이다.
패키징은 크게 Package Process Integration, Process Development, Package Design, Reliability & Failure Analysis로 구분되며,
전기적·열적·기계적 특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복합적인 기술임을 이해하였다. 특히 System in Package(SiP)와 Low Power Package 등 차세대 패키징 기술이 반도체 성능과 소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 인상 깊었다.
3. EDA 설계 Tool 개발 직무의 이해 (Synopsys 사례)
EDA(Electronic Design Automation) 분야는 반도체 설계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영역으로, Synopsys와 Cadence, Mentor 등이 대표 기업이다. 설계 자동화 툴은 Front-end(논리합성, 시뮬레이션)와 Back-end(배치·배선, 검증)로 구분되며, ICC, ICC II와 같은 Tool이 사용된다. 이 직무에서는 하드웨어 설계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알고리즘과 물리적 설계에 대한 이해가 모두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4. 학습을 통해 느낀 점
이번 학습을 통해 반도체 산업이 단순히 ‘설계 → 제조’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설비, 공정개발, 패키징, EDA 등 세부 조직이 긴밀히 협력하는 거대한 시스템임을 체감했다. 특히 Packaging과 EDA Tool 개발은 공정 이후의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성능과 신뢰성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앞으로는 이러한 직무 간 연계 속에서 내가 관심 있는 분야가 어디인지, 그리고 어떤 기술적 역량을 더 키워야 할지를 구체적으로 탐색해보고 싶다.
신고하기
작성자 선한초콜릿4383
신고글 반도체 스터디 89기 - 3일차
사유선택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댓글 0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