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est 인기글 (실시간)
신경수 850제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1. 불완전개방일때 BP곡선은 우상향하는데 LM곡선보다 기울기가 크게 그려야하나요 작게그려야하나요?
2. 불태화정책은 고정환율일때멘 사용하는건가요?
3. (예상인플레 감소 -> 자산구입의 필요성 감소 -> 화폐를 보유하려는 성격이 짙어짐 -> 화폐수요 증가. 이때 'i-πe=r' 식에서 i가 고정되든 고정되어있지 않든 πe가 감소하므로 r이 증가함 = 투자가 감소하고 화폐수요보다 높은 이자를 제공하는 금융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 <- 이 논리는 이해가 되요
근데 화폐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인중에서 물가상승, 예상인플레이션 감소가 있는데
예상인플레가 감소할 때 화폐 수요가 증가할 떄도 있고, 감소할 때도 있는데
이 두가지 경우는 어떻게 구분해야 하나요?
4. 756-2. 균제상태란 균형상태. 인구증가율, 자본축적율 등의 경제적 변수가 변화가 없는 상태를 말함. 1인당 소득이 증가하더라도 성장률이 일정하다면 균제상태임
->이렇게 정리를 했는데 그렇다면, 균제상태=성장률에 변화가 없는 상태(성장 자체는 함) 이라면, 솔로우 모형에서는 곡선과 직선이 접한느 부분이 균제상태이고 AK모형은 항상 균제상태인가요?
5. 682-4. 선지를 제 표현으로 이해해 봤어요
기대물가가 고정되어있다면 SAS곡선의 기울기는 a로 판단해야 하므로 우상향한다는 4번선지는 맞는 얘기다 (O)
예상물가(기대물가)가 변동하면 단기총공급곡선 자체가 위아래로 이동하는 식으로 변한다. (O)
기대물가가 탄력적이라면 합리적기대 스타일에 가깝기 때문에 SAS곡선이 LAS처럼 기울기가 가팔라진다 (O)
생각할거리가 3개정도 나오는데 이것 말고도 선지를 통한 출제자의 의도가 더 있는지, 그리고 이 3 문장들은 다 맞는지 알고싶어요
6. 726-1 가계가 직접적으로 저축률을 조정하여 황금률을 항상 달성하는 것은 아닙니다. 정부정책에 의해서 가능합니다.
-> (저축률은 외생적으로 주어진 수치 = 정부가 결정한 수치)라는 솔로우 모형의 기본 가정을 부정하는 선지라고 받아들이면 되나요?
감사합니다.
작성자 편안한알파카9640
신고글 신경수 850제 질문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