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격 스펙 ]
한양대학교 / 4.29 / 오픽 IM 2 / 헌혈활동 금장
[ 합격 자소서 ]
4. 혼자 하기 어려운 일에서 다양한 자원활용, 타인의 협력을 최대한으로 이끌어내며, Teamwork를 발휘하여 공동의 목표 달성에 기여한 경험에 대해 서술해 주십시오.
[에너지하베스터 모듈 제작]
석사과정에서 1년 4개월간 팀장을 맡아 에너지하베스터 모듈을 연구실의 모든 동료들의 도움으로 시공 전 기간 내에 완성시켜 목표를 달성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시공 기간에 맞추기 위해서는 에너지하베스터 모듈 20대를 4개월 동안 제작하는 도전적인 목표를 세웠습니다. 목표를 20대로 잡은 이유는 기획과정에서 설정한 도로에서 발생하는 전기에너지 목표치가 1 kW/m 였기 때문이었습니다.
에너지하베스터는 연구실에서 개발한 기술이었기 때문에 외주제작은 물론 외부인원을 고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불가능했습니다. 그리고 모두 수공업으로 제작해야 했기 때문에 한 대의 모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네 명의 숙달 된 연구원이 일주일은 꼬박 밤을 새야만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을 하게 된다면 하루도 쉬지 않고 일을 해야만 16대를 만들게 되는 것이었고 목표한 20대를 달성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였습니다.
그래서 저는 팀원 네 명을 제외한 20명의 연구실 동료들의 협력을 구하였습니다. 고맙게도 바쁜 동료들은 시간이 날 때마다 틈틈이 바쁘지 않은 동료들은 팀에 합류하여 도와주겠다는 약속을 해주었고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저는 에너지하베스터 제작 가이드 책자를 만들어 처음으로 접하는 동료들에게 제작에 이해하기 쉽도록 만들어주었습니다. 또한 연구실 생활 틈틈이 파악한 연구원 개개인의 능력에 맞게 역할을 분담하여 제작 시간을 단축시켰습니다.
초기에는 손발이 맞지 않아 한 대를 만드는데 일주일 이상이 걸렸지만 24명의 사람들이 모두 한 마음이 되어 시간이 가면 갈수록 가속이 붙기 시작하였고 기존의 20대를 4개월로 계획했지만 4개월을 한 주 남긴 상태에서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반복된 제작으로 인해 속도가 붙었고 갈수록 모듈의 품질도 좋아졌습니다. 이 제작을 통해 협력의 중요성을 체험할 수 있었고 목표를 초과 달성하는 기적을 경험했습니다.
출처: 대학생 대외활동 공모전 채용 사이트 링커리어 https://linkareer.com/
* 해당 합격자소서는 합격이 최종확인된 100% 신뢰할 수 있는 검증된 합격자소서입니다. 합격자소서는 대학생 대외활동 공모전 채용 사이트인 링커리어와 제휴를 통해 위포트 회원분들께 제공됩니다.
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