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버튼

전체글

올케어 143기 서성훈 2회차 수업후기

상세페이지-메뉴
https://community.weport.co.kr/community/4508144
답이 있는 두 가지 주제의 토론을 가졌고 저는 샘이 의도한 기준에 어긋난 답만 찾아갔습니다. 큰 충격에 휩쌓인 채 강의 후 계속 성찰을 했습니다. 회사기준과 자기기준 중 회사기준을, 리더쉽과 팔로워쉽 중엔 리더쉽이 중요하다고 하셨습니다. 어떻게 보면 비슷한 기준 같은데 뭐가 다를까에서 시작했습니다. 제가 다다른 답은 큰 틀에 있어선(전략) 회사기준을 따르고, 본인이 맡은 직무(전술)에 있어선 리더쉽을 발휘하라는 것입니다. 제가 한 성찰이 선생님의 의도와 다를 수도 있으니 혹시 제 후기를 읽으시면 어떤 경로로든 이에 대해 답을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일단 제가 재직 중인 회사를 돌이켜봤습니다. 회사에선 가장 현장과 맞닿아 있는 영업직무는 '전술'에 있어서만 리더십을 발휘하면 된다 했었습니다. 하지만 업계 전반에 힘든 상황 속에서 근무회사 역시 어려움에 직면했고 이제는 '전략' 역시 현업에서 짜라고 정말 많을 변화를 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리더쉽'이 강조되는 것이죠. 

제가 지금 몸담고 있는 조직, 좁혀서는 팀의 의도를 잘못 깨치고 있어왔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직무에 있어서는 리더쉽을, 그외(조직생활)에 있어서는 회사의 기준에 따라야하는 것인데 말이죠. 저는 직무 자체는 나름 재미를 느끼고 있고 리더쉽을 발휘하여 나름의 성과를 냈습니다. 그런 부분에 있어서는 평가도 나쁘지 않습니다. 지표로서 큰 성과는 아니지만 회사 최초로 이뤄낸 것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정상출근보다 1시간 먼저 와야하는 분위기, 원치 않는 취미생활이 강요되는 분위기, 회식장소 짜보라 했더니 결국 윗분 의도대로 가는 사례 등 이런 부분들이 '회사의 기준' 내지는 '부서/팀의 기준'인지 모르겠습니다. 올해 합류한 보수적인 팀에서 기준을 따르지 않다가(마음으로 따르지 않는 것 포함) 최근되서야 내려두긴 했습니다. 두번째 토론 중에는 특정사례에만 포커스를 맞추다 보니 본질을 놓친거같습니다.

결론적으로 현업에 있어서 리더쉽을 발휘해야한다는 부분은 놓치지 말야할 부분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쌤이 말씀하신 '회사의 기준'은 어디까지를 포괄하는지 아직 어렵습니다(극단적인 예로 직장내괴롭힘이 만연한 분위기에서도 거기에 따라야 하는지). 어느 곳이나 마찬가지겠지만 조직생활이 워낙 복잡하여 단순하게 생각하긴 어렵지만 본질은 놓치지 말아야할 거 같습니다.
신고하기
close-icon

작성자 네이버카페_올케어 143기 서성훈

신고글 올케어 143기 서성훈 2회차 수업후기

사유선택
  • check-icon
    욕설/비하 발언
  • check-icon
    음란성
  • check-icon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check-icon
    개인정보 노출
  • check-icon
    특정인 비방
  • check-icon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댓글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