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닉 #전기차&2차전지 빡공스터디 후기
이번에 좋은 기회로 2차전지 3일 빡공스터디 진행하였습니다.
간단하게 리뷰 형태로 후기 작성하겠습니다.
전지 - 1차전지, 2차전지, 3차전지
1차전지 :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일회성 전지(ex, aa건전지)
2차전지 :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 전기차에 많이 사용되는 리튬이온배터리)
3차전지 :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이 아니고, 수소를 이용해 전기를 만들어 내는 일종의 발전기(현대 넥쏘 -> fcev)
3차전지는 고출력이 가능하며 오로지 물만을 배출물로 배출함. 다만 구조가 복잡하고 충전 인프라가 구성되어 있지 않아 인기 x
현재 전기차에 많이 사용되는 리튬이온배터리는 리튬이온폴리머 배터리임. 이는 전해질로 고체형태를 사용한 배터리임. 이는 전해액의 누액 가능성이 낮아 과열이나 과충/방전으로 인한 사고에 더 안전함.
또 배터리 시스템의 구성요소로 bms와 pra가 있음.
bms는 battery management system의 약자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임. 배터리의 상태(State of Charge), 배터리 수명(State Of Health), 전류 전압 모니터링, 셀 밸런싱 등의 업무를 수행함.
셀 밸런싱은 각 셀간의 전압 편차가 발생하였을 때, 이로 인해 과충전 과방전으로 인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셀 간 전압을 일정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 종류로는 passive 밸런싱과 active 밸런싱이 있다.
passive 밸런싱은 resistor를 활용하여 기준 전압 보다 높은 전력을 열에너지로 바꾸어 셀간 전압 편차를 없애는 과정이며, active 밸런싱은 cap을 이용하여 전압이 높은 셀에서 낮은 셀로 에너지를 이동시켜 셀간 전압 편차를 없애는 과정이다.
다음으로 pra는 Power Realy Assembly 의 약자로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배터리에서 나온 큰 직류 전력이 그대로 인버터로 물리면, 인버터에 손상을 가할 수 있기에 적정한 전압으로 바꾸어 주고(돌입전류 제어), 과전류가 흐를때에는 회로 연결을 끊어버린다. 실제 물리적인 접촉으로 인해 열리고 닫히는 스위치와는 달리 내부의 전기적 성향으로 열리고 닫힌다.
pra는 크게 main릴레이와 프리차지릴레이로 구성된다.
작동방식을 보면 먼저 프리차지 릴레이가 on이 되고, 메인릴레이의 -극이 on 된 후에, 메인릴레이의 +극이 on되고 프리차지 릴레이가 off되는 방식이다.
전기차에 대한 학습을 위해 강의를 수강하였고, 정확히 제가 원하던 강의였습니다. 정말 중요한 것들만 콕콕 찍어서 강의해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엔지닉 #전기차&2차전지
작성자 솔직한너구리6817
신고글 #엔지닉 #전기차&2차전지 빡공스터디 후기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