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버튼

엔지닉 전기차&2차전지 스터디 16기 1일차 학습일지

상세페이지-메뉴
https://community.weport.co.kr/board_EouY72/104162555

엔지닉 전기차&2차전지 스터디 16기 1일차 학습일지입니다.

전지의 구성 및 원리와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리튬이온전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수강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특히나 최근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 수소 연료 전지에 대한 내용을 추가로 알 수 있어서 도움이 되었습니다. 수소 연료 전지를 3차 전지라고 하는 것을 새롭게 알게되었습니다.

 

수강 중 생긴 궁금한 점

 

  1. 첫 번째 강의 01. 전지의 종류 및 개요 - 전지의 개요 부분
    습전지: 전해액으로 1차전지를 사용하는 전지
    이 말은 무슨 말인지 이해를 못함..

  2. 첫 번째 강의 03. 3차 전지 - 3차전지
    수소연료전지는 연료로 넣어준 수소 + 대기 중 산소가 반응해서 에너지를 발생하는 원리임.
    이 과정에서 대기 중 산소만으로 충분한 효율을 낼 수 있는가? 라는 의문이 발생
    대기 중 산소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보통 산소는 약20% 정도 존재하는데 적지는 않을까? 하는 궁금증 발생

  3. 첫 번째 강의 03. 3차전지 -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넥쏘)
    이건 진짜 수소 연료 전지를 잘 몰라서 생기는 궁금증..
    수소연료전지는 수소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고 있음. 수소는 폭발성이 굉장이 큰데, 차량에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것은 사고 시 안전한지?
    물론 LIB 같은 배터리도 사고시에는 화재가 매우 크게 나지만, 비교했을 때 어떤게 더 안전한지..

  4. 첫 번째 강의 04.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PEMFC)
    이것도 이 부분에 잘 몰라서 생기는 궁금증
    고분자전해질에서 수소 이온 이동 경로는 어떻게 되는건지..
    분리막처럼 다공성 고분자라서 수소 이온 정도만 통과할 수 있는 미세 구멍이 있는건가? 추가로 알아 볼 것

  5. 첫 번째 강의 04.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PEMFC)
    전극반응의 발열을 개질 반응의 흡열에 사용하기 힘들다.. 라고 되어 있는데 강의 중 이것이 장점이라고 하셨다.
    이게 어떤 의미이고 왜 장점인지 이해가 안 돼서 추가로 설명을 찾아볼 예정

  6. 두 번째 강의 01. 리튬이온 2차전지 개발역사
    1985년 아키라 교수는 존 굿이너프 교수가 만든 음극재료를 사용해서~ 라고 자료에 되어 있는데, 요시노 아키라 교수는 양극재를 굿이너프 교수가 만든 금속산화물을 활용하고, 음극재를 탄소소재로 만든 것이 아닌가..?
    잘못알고 있는건지 다시 찾아볼 것..

  7. 두 번째 강의 04. 전기자동차 리튬이온전지의 에너지 용량 계산
    마력으로 계산하는 이유가 따로 있는지.? 자동차 출력을 마력으로 계산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어서 그런건가 싶은데 잘 모르겠어서 더 알아봐야겠다.

 

이차전지에 대해 아직도 모르는게 많아서, 이 스터디를 통해 좀 더 많은 것을 배우고 알아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신고하기
close-icon

작성자 완벽한공책1932

신고글 엔지닉 전기차&2차전지 스터디 16기 1일차 학습일지

사유선택
  • check-icon
    욕설/비하 발언
  • check-icon
    음란성
  • check-icon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check-icon
    개인정보 노출
  • check-icon
    특정인 비방
  • check-icon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