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지닉 바이오헬스 학습일지 2일차

학습 목표 : 바이오 헬스의 다양한 산업 중 제약 산업에 대한 이해
현재 제약산업과 의료기기 산업은 많이 어려운 상황
의약품의 정의 :
1) 사람 또는 동물의 질병 진단 / 치료 / 경감 / 처치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기계 기구가 아닌 것
2) 사람 또는 동물의 구조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기계 기구가 아닌 것
의약품의 3대 요건
ㄴ 안전성 / 유효성 / 편리성
의약품의 구성 요소
결합제 : 성분의 입자를 결합시켜 일정 크기로 증가시킴 (포비돈, 하이드록실 프로필 셀룰로스)
pH, 삼투압 조절제 : 투여 시 이상반응 최소화 (수산화나트륨, 구연산 등)
감미제 : 복응 순응도 향상 (백당, 수크랄로스 등)
코팅제 : 표면에 균일한 막 형성, 성상 개선, 쓴맛 차폐, 방출제어
안정화제 : 약리활성성분의 사용기간 중 안정성 향상
주성분 : 약리활성 물질
부형제 : 증량이나 형상부여 목적 (유당, 만니톨, 소르비톨, 정제수 등)
의약품의 제형
약리활성물질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생체 내에서의 흡수를 증가시켜 치료 효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함
경구투여 / 점막투여 / 비뇨,생식 투여 / 직장 투여 / 피부 투여 등 다양한 형태 존재
의약품 개발 과정
1) 치료 약물 후보물질 개발
2) 개발대상 물질 선정
3) 약물의 작용점 연구
4) 선도물질 및 후보물질 도출 (대량 제조 공정 개발 / 제제화 연구 / 안전성 평가)
5) 생체 내 동태 규명 및 임상시험
느낀 점 :
2강은 제약산업의 전반적인 지식에 대해 강의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학부생 시절 들었던 생명공학 수업이 생각나는 이론들이 많이 있었고, 잊고 있던 부분과 새롭게 알게 된 사실들도 있었습니다.
특히 의약품의 구성 요소에 대해선 이번 강의를 통해 처음 알게 되었는데, 의약품을 제조할 때 이런 요소들이 고려된다는 것을 알게되어 제약 산업이 단순히 제약을 하고 그것을 잘 유통시켜 판매하는 것으로만 끝나는 게 아닌, 한가지 약을 만들 때에도 어떠한 적응증을 목표로 할 것인지, 어떤 물질을 사용할 것인지, 임상시험은 어떻게 구축할 것이고, 그 과정중에 GLP, GCP, GMP는 어떻게 계획하여 실행해 나갈 것인지 계획해야한다는 점에서 쉽지 않은 산업이라고 느꼈습니다.
작성자 고마운해파리4273
신고글 엔지닉 바이오헬스 학습일지 2일차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