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활동내역

    내가 쓴 글

    내가 쓴 댓글

    보관함

    닉네임 설정

    쪽지함

    받은 쪽지함

    보낸 쪽지함

    보관함

합격자소서

삼성전자 / DS부문 / 2018 하반기


위포트 매니저


2018.08.31 15:00

조회 21


추천 0


https://community.weport.co.kr/board_DwNG04/1155992


[ 합격 스펙 ]

충남대학교 / 3.64 / 오픽 im2 / 연구원 인턴


[ 합격 자소서 ]

3.최근 사회이슈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한가지를 선택하고 이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1000자 (영문작성 시 2000자) 이내 최근 사회이슈인 정부의 탈원전 에너지 정책과 신재생에너지 3020 정책에 대해 관심이 많고, 대한민국과 제조업, 에너지기업, IT기업 등 모든 기업에 중요한 이슈라고 생각합니다. 탈원전 에너지 정책은 안전성 논란이 있는 원자력 발전소의 가동정지 및 폐지하는 정책을 말합니다. 신재생에너지 3020 정책으로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등등)의 발전량을 전체 발전량의 20%까지 늘리고자 하는 계획입니다. 최근 미세 먼지의 영향으로 에너지 전환을 통해 맑은 공기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바람과 맞물려 높은 정책 지지도를 얻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대규모 태양광, 풍력 프로젝트 추진, 발전 사업 확대, 관련 제도 개선 및 규제, 재생에너지 산업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 3020 실현을 앞당기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은 원자력에 따라 갈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지역 경제에 미미한 이득과 신재생에너지 부지 선정에 의한 환경 파괴와 저주파 소음 문제는 지역 갈등의 주범이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더군다나 발전 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제조업들의 원가가 상승하여 전전긍긍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삼성전자는 반도체는 세계 시장에서 우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기 요금의 인상 시 영향력은 다른 철강, 석유화학기업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하지만 향후 10년, 20년이 지나게 되면 전기요금의 상승은 불가피할 전망이기 때문에 삼성전자에서도 설비 측면에서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탈원전에 대하여 더 효율적이고 값이 비슷한 재생에너지가 지금 현재 사용가능하면 원전에 집착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재 대체에너지는 원자력을 대체할 만한 수준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탈원전 정책은 아직 이르다는 견해입니다. 정부와 기업 주도하여 신재생에너지의 투자하여 R&D 기술 개발, 인프라 확충, 설비 유지보수 계획, 지역 갈등 해결을 한다면 그린에너지 국가의 선두주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엔지니어의 꿈” 역학과 변화하는 세상의 규칙에 관심이 많았던 저는 대학을 진학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남들 보다 부족함을 느꼈던 저는 끈기를 가지고 노력해서 잊을 수 없는 성취감을 얻게 되었고, 그 결과 원하는 대학에 진학할 수 있었습니다. 대학교 진학 후 전자기학, 제어공학, 전기 물성에 대한 전공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전자기학에서 Maxwell’s Equations 토대로 전기와 자기를 깨우치고, 그들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배우고, 제어 공학에서는 라플라스를 통하여 동적 시스템의 원리를 배우고, 프로젝트를 통해 원하는 동적 운동을 실현하기도 하였습니다. 전기 물성과 전자회로를 통해 양자 역학을 기본으로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에 대하여 배우고 더 나아가 BJT, MOSFET와 같은 기본적인 스위치 소자의 구조와 특징을 배우면서 반도체에 대한 관심이 생기기 시작하였습니다. 많은 전공과목을 수강하면서, 다양한 문제 해결을 하면서 자신감이 생기고 저의 미래를 엔지니어로 그려나갔습니다.


출처: 대학생 대외활동 공모전 채용 사이트 링커리어 https://linkareer.com/


* 해당 합격자소서는 합격이 최종확인된 100% 신뢰할 수 있는 검증된 합격자소서입니다. 합격자소서는 대학생 대외활동 공모전 채용 사이트인 링커리어와 제휴를 통해 위포트 회원분들께 제공됩니다.